돼지고기 부위별 명칭 용도
그러고보면 소고기 비싸다는 건 다 옛말이다.
요새는 돼지고기 값도 만만치 않다.
오히려 비싼 삽겹살은 소고기 뺨칠 정도의 가격이다.
특히 직장인들에게는 삽겹살에 소주만큼 힘의 활력소를 낼수 있는건 없다.
그러나 가끔은 여러 종류의 부위를 먹고 싶을 때도 있지만,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그저 삼겹살만 차즌다.
그래도 갈매기살, 항정살 정도는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
부위별로 당연히 가격차이가 있다.
그래서 한번 알아보기로 했다.
돼지고기의 부위별 명칭
목살
어깨등심 이라고 불린다.
지방이 적은 편이다.
고기의 맛이 좋고 육즙이 풍부하다.,
그래서 소금구이로 자주 사용된다.
보쌈, 주물럭 등의 용도로도 쓰인다.
삼겹살
갈비뼈를 떼어낸 갈비살은 고기내에 지방이 3겹 되어있다.
그래서 이름붙여진 것이다.
돼지에서 나는 특유의 냄새가 적은 편이다.
탄력이 있고 육질이 살아있다.
구이, 조림을 할때 사용되기도 한다.
갈비
지방은 존재하지만 꽤나 감칠맛 넘친다.
그래서 구이나 찜으로도 쓰인다.
앞다리
갑자기 족발이 생각한다.
거칠기도 하지만 지방이 적다.
불고기, 찌개, 보쌈, 수육으로 쓰인다.
뒷다리
역시 지방이 적다.
고기색이 진하다.
수육, 보쌈, 햄, 장조림에 쓰인다.
등심
매우 부드러운 살코기 맛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고급스럽다.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로도 쓰인다.
또한 불고기, 찌개를 할때 넣어준다.
안심
등심보다 더 부드럽다.
지방도 적은 편이다.
돈가스 먹을때 기억날 것이다.
탕수육에도 이용된다.
갈매기살
돼지의 가슴 부분과 배 부분의 경계에 있는 횡경막을 일컬어 갈매기살이라고 한다.
모르는 아이들은 진짜 바다에 사는 갈매기를 떠올릿 것이다.
쫄깃하고 담백하다.
항정살
돼지 한마리에서 나오는 양은 매우 적다.
천겹차돌 이라고도 불린다.
지방이 층층이 있어서 씹는 맛이 아삭하다
귀엽다고 해야하나?
그래서 많이 먹으면 느끼하다.
스튜, 카레, 불고기 용
가브리살
등심위에 있는 두터운 지방층 사이의 살코기 부분이다.
등지방이 있고 삼겹살보다 연하다
그리고 부드럽다.
식감은 쫄깃하다
돼지 한마리에 200g 정도 소량으로 나온다.
생구이나 양념구이로 많이 사용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니 엑스페리아 U 도착 (0) | 2015.08.30 |
---|---|
기억력 향상법 좋아지는법 (0) | 2015.08.25 |
화성 지형 글라이더형 무인기 비행기 (0) | 2015.08.15 |
몽골의 사막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0) | 2015.08.14 |
Google 모회사 이름 Alphabet에 먹구름? BMW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