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주식 이론 427

주식 관리종목 매매 매수 매도 정답은?

주식 관리종목 매매 매수 매도 정답은? 증권거래소 관리대상 종목이란 상장법인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도의 유동성을 갖추지 못하였거나, 영업실적 악화 등의 사유로 부실이 심화된 종목으로 상장폐지기준에 해당할 우려가 있는 종목을 말한다. 주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도 대충 안좋은 뜻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일단 무엇이 옳은 매매인지 말하지 전에, 나같은 경우 관리종목은 절대 매매하지 않는다. 나 뿐만 아니라 주식을 오랫동안 해왔던 투자라면 그러할 것이다. 주식은 자신만의 원칙을 세워서 하는게 좋다. 정배열에서만 매매한다는지, 관리종목은 매매하지 않는다든지. 참고로 관리종목의 지정사유는 증권거래소가 유가증권 상장 규정에 의거하여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는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 투자자에게는 투자에 유의하도록..

주식 매도시점 타이밍 타점 잡기

주식 매도시점 타이밍 타점 잡기. 주식을 잘하는 사람은 수익을 많이 내는 사람일까? 난 아니라고 본다. 원금을 잃지않는 투자자가 진짜배기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저점을 노리고 매수를 하고 목표가를 정해서 매도를 한다. 사실 매수 매도 둘중에 어느 한쪽이 더 중요한가 라는 질문을 한다면 난 둘 다 라고 말하고 싶다. 그만큼 매수 매도 시기는 투자자들에게 있어 돈과 관련되어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수익구간이라면 언제든지 사이즈를 보고 홀딩하면서 들고갈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손실구간이라면 과감하게 손절을 해야할지, 아니면 버텨야 할지 고민될것이다. 그래서 매매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저번에는 매수 타이밍에 대해 이야기했으므로 오늘은 주말이고 하니 매도에 대해 써보겠다. ..

시간외단일가 매매 기법 하락 종목 공략

시간외 단일가 매매 기법 하락 종목 공략. 바쁜 직장인들은 하루종일 HTS를 보고 있을 수 없다. 고작 할수 있는 것이 있다면 핸드폰을 사용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나도 예전에는 폰으로 해봤지만 영 불편하다. 괜히 단타라도 하는데 폰이 꺼지기라도 한다면, 그런데 마침 폭락을 하게 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되버린다. 따라서 차라리 시간외 거래를 통해서 매매를 하는것이 어떨까 싶다. 물론 내가 여기서 말하는 매매기법은 약간의 운을 따르는 것이다. 정규시간 오후 3시 이후부터 시작되는데 동시호가를 빼면, 오후 3시 30분 부터가 시간외 단일가 매매 시작이다. 여기서 세력들이 허매도 허매수를 걸어서 장난을 치기도 한다. 괜히 폭락을 유도해서 개미들의 물량을 싸게 매집하고 다시 고가에 팔기도 한다...

주식 종목 선정 방법 거래량 상위 참고

주식 종목 선정 방법 거래량 상위 참고. 어떤식으로 종목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은 없다. 막말로 요즘 시장에서 핫한 종목을 매매하는 것도 좋다. 종목을 선정할때는 여러가지를 보게 된다. 기본적 분석을 통해서 회사의 미래 가치를 보고 투자를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외국인 기관 등의 수급을 보고 접근하는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그중에서도 난 거래량을 보고 매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어디까지나 내 생각이다. 그렇다면 왜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물리더라도 숩게 탈출이 가능하다. 예를들어보자. 미래에셋제4호스펙의 일봉차트다. 평소 거래량은 8만주다. 10만주를 못넘기는 종목이 갑자기 상한가를 치게 되면 무턱대고 들어가지 말고 매매를 하기 전에 정보 재료 스펙 재무 구조 등을 잘 살펴보자. 거래량이 ..

주식 매집봉 세력 물량 확보

주식 매집봉 세력 물량 확보.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들어간다. 물론 소형주 중에서도 거래량도 별로 없고 유통 주식도 적은 종목의 경우 개인들이 동호회를 만들어서 한바탕 해치울수도 있다. 그런 예외적인 것들은 무시하고, 기본적으로는 대부분의 종목에 세력이 있다. 주가를 관리하고 눌림목을 만들고 하는 것들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개인이 돈이 엄청 많다면 주가를 오르락 내리락 할 수 있지만, 50억 100억을 가지고 있는 개미는 흔하지 않다. 세력이 되기 힘들다. 세력이라 하면 주로 우리는 외국인(외인) 기관 등을 말한다. 그들은 자금이 많다. 한명이 아니라 통일된 여럿이다. 그래서 그들을 개미들은 이길 수 없다. 왜냐? 개인들은 각각 한명이라서 단합이 되지 않는다. 뭉칠 수 없다. 세..

자진상장폐지

자진상장폐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종목이 상장폐지를 당해서, 보유하고 있던 주식이 종이쪼가리가 된 적이 있는 투자자들은 주식을 투자하는데 있어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일어나는 상장폐지. 당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정말 황당하고 어안이 벙벙해진다. 그렇다면 상장폐지란 무엇을 말하는걸까? 거래소시장에 상장된 유가증권이 일정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장자격이 취소되것을 뜻한다. 발행회사가 도산이나 지속적인 재무상의 손실을 입었거나 일정수준 이상의 회계감사 의견을 받지 못하는 등 폐지 기준에 해당될 때 금융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상장폐지라는 조치가 취해진다. 그냥 쉽게 말하면 거래소에서 퇴출되는거다. 증권회사는 거래소에서 퇴출된 종목의 경우 매매자가 증권회사를 통하여 거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청약방법. 신주의 발행, 구주의 매출을 통하여 기업을 공개할 때, 투자자가 그 주식을 사겠다고 하는 것을 청약, 그 청약에 대해 기업이 주식을 나누어 주는 것을 배정이라 한다. 공모주 청약을 통해 주식을 사들이게 되면 증권거래소에 상장이 되고, 상장이 되는 시점에서의 주가는 발행가 보다 더 높다. 그래서 어느정도의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다. 고로 인기가 많을 수 밖에 없다. 물론 무조건적으로 오른다고 단정지을수는 없다. 공모주 일정은 대부분 한두달 전에 알 수 있다. 연간 계획 일정으로 나오기도 한다. 이는 공모주 관련 싸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공모주를 하기 위해서는 주간사나 인수사 증권사 계좌가 필요하다. 은행가서 계좌 개설하면 된다. 만들 때 돈드는거 없다. 공짜다. 청약시 필요 금액은 대..

주식 매수시점 타이밍 타점 잡기

주식 매수시점 타이밍 타점 잡기. 주식의 기초는 무엇일까? 각자의 개인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기준은 전부 다르기 때문에 무엇이 정답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손전가를 지키는것? 이평선을 파악하는것? 수급을 보는것?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것? 기업 분석? 정말 하나부터 열까지 다 중요하다. 그러나 기본은 저점 매수 고점 매도다. 이런식으로 꼭 할 필요는 없다. 우리같은 개미들은 주포 세력의 움직임에 몸을 맡기면 그만이다.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하나는 바로 차트다. 차트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물론 속임수 음봉, 개미털기 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뭐니뭐니 해도 거래량과 캔들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접근한다면 수익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바로 시작해보겠다. 매수 타점을 잡기 위해 준비한 종목은 동진쎄미켐이다...

주식 급등주 패턴 분석

주식 급등주 패턴 분석. 뇌동매매를 가장 많이 하는 사람이 꼭 주식 초보자라고 볼수는 없다. 물론 년차가 많은 사람들은 절대 안하지만 말이다. 누군가는 느릿하고 안전하게 수익을 내기 원한다. 또 누군가는 빠른 시일내에 큰 돈을 벌고 싶다. 그런사람들은 주로 단타꾼들이고 주로 급등주를 노린다. 급등주는 고수익이 가능하다. 그러나 리스크도 고수익만큼 크다. 그렇다고 난 지금 도박을 하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주식 투자는 100% 자신의 의지와 확신이 있어서 투자를 해야 정답이지, 남의 이야기나 뉴스거리, 각종 기사, 소문 등을 듣고 매매하는 것이 정답이 아니다. 그런것들은 어디까지나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재료 호재 악재 모든것들이 이에 속한다. 나는 급등주를 싫어하지 않는다. 위험 부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

주식 캔들 거래량 분석

주식 캔들 거래량 분석. 누군가는 말한다. 차트는 후행성이라서 볼 필요가 없다고. 또 다른 이는 말한다. 요즘 차트보고 주식하는 사람 어디있냐고. 그러나 그들은 모른다. 차트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기본에 충실하는 사람은 무슨일을 하더라도 반은 먹고들어간다. 예가 적절하지는 않겠지만, 운전하는 사람이 급출발 급정거를 하지 않아야 된다는 기본만 알아도 유지비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의 성능도 더 오래 좋게 만들 수 있다. 기본기라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배신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주식에서 기본기는 무엇일까? 바로 차트다. 차틀를 보기위해서는 캔들과 거래량 이동평균선(이평선)을 봐야한다. 그러나 이평선은 보조지표라는 것을 잊지 말자. 2016/05/15 - [Stock/k..

반응형